티스토리 뷰

생활정보/일반

제주 4.3 사건

somsompapa 2020. 3. 17. 11:24
반응형

#제주 4.3사건

혹시 제주 4.3 사건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역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도 4.3 사건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신분은 많지 않으신거 같습니다.

제주 4.3 사건 이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들이희생당한 사건을 말합니다.

6.25 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극심했던 사건으로,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무차별적인 대학살과 참혹한 사건입니다. 때는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350명의 무장대는 이날 새벽 우익단체 요인들의 집을 습격했습니다.

무장대는 경찰과 서청의 탄압중지, 단독선거·단독정부 반대, 통일정부 수립촉구 등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4·3사건으로 인해 제주지역 공동체는 파괴되고 엄청난 물적 피해를 입었으며, 무엇보다 깊은 상처로 남아있는 참혹한 인명피해를 가져왔습니다.

제주 4.3 사건 으로 인한 총 희생자 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최대 제주도민 8분의 1이 죽거나 행방불명(추정치는 3만 명에서 최대 8만 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일가족 전체가 몰살당하거나 학살 도중 육지로 도피, 살아남았어도 트라우마로 인해 신고조차 하지 못한 경우도 허다하다 합니다.

현재까지 유해 발굴 작업이 계속되고 있으며, 그에따라 희생자 수는 아직까지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유해 발굴이 되었어도, 신고한 사람 대부분이 70~80대를 넘긴 고령이거나 이미 사망한 경우도 허다해서, 유해가 발굴되었어도 신원이 파악되지 못해 피해자로 등록되지 못한 경우도 있다. 말하자면, 친척 몇 다리만 건너면 제주 4.3사건 희생자라는 뜻인데, 실제로 오늘날도 제주도에 가 보면 촌락별로 제사가 거의 비슷한 날 치러지는 걸 보면, 당시에 제주도민들이 얼마나 학살당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나무위키 인용)

320x100
반응형
댓글
반응형